
글로벌 탄소규제 범위가 개별 기업 단위에서 공급망과 전주기(Life Cycle)로 확장된 만큼 전북 RE100 산업단지는 ‘전주기 산업 클러스터’로 도약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전북이 추진하고 있는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와 ‘부안·고창 재생에너지 산단’을 ‘공급망 전주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고도화해 기업을 유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연구원은 23일 전북특별자치도청 대회의실에서 「전북 백년포럼」 제41강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은 ‘글로벌 공급망과 RE100: 전북의 산업단지 고도화 전략 방향’을 주제로, 홍콩과기대(광저우) 류하늬 연구원이 강연을 진행했다.
류하늬 연구원은 “RE100은 자발적인 재생에너지 전환 캠페인이지만, 이미 글로벌 규제 수준은 이를 넘어 공급망 전체와 제품의 전주기(Life Cycle)로 확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ESG 공시 의무화와 EU·미국의 탄소무역규제 등으로 인해 공급망 전체의 탄소 배출과 공정 투명성 관리가 수출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EU 배터리법은 생산부터 재활용까지 전 과정의 탄소발자국을 추적하는 전형적인 전주기 규제 사례로, 우리 기업들도 제품의 LCA(전과정평가)를 준비하지 않으면 수출 장벽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글로벌 공급망의 블록화, ESG 공시 표준화, 공급망 실사 의무화가 동시에 작동하고 있어 지방정부 차원의 산업단지 전략도 이에 부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병운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