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5.8℃맑음
  • 강릉 27.3℃구름조금
  • 서울 26.6℃맑음
  • 대전 25.0℃구름많음
  • 대구 22.6℃흐림
  • 울산 23.8℃흐림
  • 광주 24.8℃구름많음
  • 부산 27.2℃흐림
  • 고창 25.2℃구름조금
  • 제주 24.5℃
  • 강화 25.7℃맑음
  • 보은 24.4℃구름많음
  • 금산 25.9℃구름많음
  • 강진군 26.3℃구름많음
  • 경주시 22.1℃흐림
  • 거제 25.3℃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2025.09.20 (토)

전북도 지난해 식중독 환자 최다 불명예

인구 백만 명당 식중독 환자수는 전북 698명

 

지난해 식중독 환자가 전북도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식약처는 29일 지역별 인구수를 감안한 인구 백만 명당 식중독 환자수는 전북도에서 69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제주도 301명, 광주광역시 222명 순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식약처의 2004년 식중독 발생현황 분석결과에 따르면 식중독의 원인병원체는 살모넬라 58건(32%), 노로바이러스 37건(20%), 병원성대장균 24건(1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3년간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가장 많았던 것과 달리 ’24년에는 살모넬라가 제1의 식중독 원인균으로 분석되었다.

 

지난해 식중독은 총 265건, 환자수 7624명으로 전년 대비 발생건수(26% 감소), 환자수(13%감소)가 모두 줄었으나, 살모넬라 식중독기 각각 건수 20%, 환자수 25% 증가해 일상에서 식중독 예방수칙을 생활화할 필요가 있다고 식약처는 전했다.

 

식중독은 2월을 제외하고 매월 10건 이상 발생하였고, 기온과 습도가 높은 여름철(7~9월)에 발생한 식중독이 전체 건수의 39%, 환자수의 50%를 차지했다.

 

특히 폭염이 지속되는 7∼8월에는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등에 의한 세균성 식중독이 주로 발생했고, 기온이 낮은 1월과 12월에는 노로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식중독 발생이 높았다.

 

지난해 살모넬라 식중독의 66%(38건)는 음식점에서 발생했다. 살모넬라균은 달걀 껍질에서 다른 식품으로 교차오염이 될 수 있으므로 달걀을 만진 후에 반드시 세정제 등을 사용해 손을 깨끗이 씻고, 오염이 의심되는 식품은 섭취하지 않아야 한다./장병운 기자